공부방
코딩 화이팅
« 2025/05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관리 메뉴
공부방
분산 데이터베이스(Distributed Database) 본문
백엔드/DB
분산 데이터베이스(Distributed Database)
코딩 화이팅
2025. 3. 19. 15:12
분산 데이터베이스란?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 시에 한 대의 물리적 시스템에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설치하고 여러 명의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구조를 중앙 집중형 데이터베이스 라고 한다.
- Oracle, DB2, SQL Server, PostgreSQL 등
- 그에 반해, 물리적으로 떨어진 데이터베이스에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단일 데이터베이스 이미지를 보여주고 분산된 작업 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분산 데이터베이스 라고 한다.
- MongoDB, Redis, Amazon DynamoDB 등
-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고객이 시스템이 분산되어있는지 인식하지 못하면서, 자신만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데이터베이스는 투명성을 제공해야 한다.
- 투명성은 분산 데이터베이스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투명성의 종류에는 분할, 위치, 지역사상, 중복, 장애 및 병행 투명성이 있다.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투명성 종류
- 분할 투명성 : 고객은 하나의 논리적 릴레이션이 여러 단편으로 분할되어 각 단편의 사본이 여러 시스템에 저장되어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없다.
- 위치 투명성
- 고객이 사용하려는 데이터의 저장 장소를 명시할 필요가 없다.
- 고객은 데이터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동일한 명령을 사용하여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 지역 사상 투명성 : 지역 DBMS와 물적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사상이 보장됨에 따라 각 지역 시스템 이름과 무관한 이름이 사용가능하다.
- 중복 투명성 : 데이터베이스 객체가 여러 시스템에 중복되어 존재함에도 고객과는 무관하게 데이터의 일관성이 유지된다.
- 장애 투명성 : 데이터베이스가 분산되어 있는 각 지역의 시스템이나 통신망에 이상이 발생해도, 데이터의 무결성은 보장된다.
- 병행 투명성 : 여러 고객의 응용 프로그램이 동시에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결과에 이상이 없다.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방식
- 상향식 설계 방식
- 지역 스키마 작성 후 향후 전역 스키마를 작성하여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 지역별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에 전역 스키마로 통합하는 것이다.
- 하양식 설계 방식
- 전역 스키마 작성 후 해당 지역 사상 스키마를 작성하여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 기업 전체의 전사 데이터 모델을 수렴하여 전역 스키마를 생성하고, 그 다음 각 지역별로 지역 스키마를 생성하여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분산 데이터베이스 장점과 단점
- 장점
- 데이터베이스 신뢰성과 가용성이 높다.
- 분산 데이터베이스가 병렬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빠른 응답이 가능하다.
-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추가하여 시스템 용량 확장이 쉽다.
- 단점
- 데이터베이스가 여러 네트워크를 통해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관리와 통제가 어렵다.
- 보안관리가 어렵다.
- 데이터 무결성 관리가 어렵다.
- 데이터베이스 설계가 복잡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