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Unity (15)
공부방

UI Scale Mode를 Scale Width Screen Size로 설정 Reference Resolution은 핸드폰의 해상도 크기에 맞도록 설정 Canvas의 하위 객체의 Text의 BestFit에도 체크를 해주고 사이즈를 조절해준다. 게임이 끝난 화면에서도 필요한 폰트들을 조절해준다. Score, BestScore의 text를 수정해준 후 핸드폰과 연결해주면 게임이 잘 실행된다.
파일에서 Asset에 소리 파일을 드래그 앤 드랍 Bird 객체 안에 새로운 컴포넌트 Audio Source를 만들어준다. Play On Awake : 시작하자마자 소리를 내주기, 필요없으니 체크 안 해줘도됨 AudioClip 안에 asset안에 있는 소리 넣어주기 눌렀을 때 소리가 나오도록 코드를 추가 if (Input.GetMouseButtonDown(0)) //Input.GetMouseButtonDown : 마우스를 눌렀을 때 //Input.GetMouseButton(0) : 왼쪽 마우스를 눌렀을 때 { GetComponent().Play(); // 눌렀을 때 소리가 나오도록 해주는 함수 rb.velocity = Vector2.up * jumpPower; // (0,1) //velocity: 속도 ..

GameOverScene에 Score에 새로운 컴포넌트를 하나 만들어준다.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using UnityEngine.UI; public class CurrentScore : MonoBehaviour { // Start is called before the first frame update void Start() { GetComponent().text = "Score : "+Score.score.ToString(); } } Score는 스코어를 불러오는 코드를 작성해준다. 게임 시작할 때 스코어를 0으로 해주기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

게임 오버된 새로운 Scene을 만들어야됨. 파일->New Scene->Basic 2D 새로 만든 Scene을 지금 게임 플레이 Scene이 있는 곳에 넣어줘야됨. Hierarchy의 제목 부분 오른쪽 마우스 클릭 Save Scene As->지금 PlayGameScene이 있는 곳에 새로운 이름으로 저장해줌. UI를 넣어주기 위해 마우스 우클릭 후 Canvas 만들어줌.(UI->Canvas) 새로운 게임 오버 페이지에 배경을 넣어주기 위해 Canvas 하위 객체로 Panel을 만들어줌. 그 후 Source Image에 원래 Asset에 있던 배경 이미지를 드래그 앤 드랍하여 배경 이미지를 넣어줌 Game Over라는 이미지를 넣어주기 위해 Panel에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UI-> Image를 고른다. ..

Canvas라는 부모 오브젝트를 만든다. Hierarchy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고 UI->Text 스마트 폰의 크기에 따라서 화면 사이즈가 다를 수 있는데, 어떤 스크린에 상관없이 꽉 채운 화면을 만들겠다. 라는 의미 Anchor의 크기를 MIN X:0, Y:0 / MAX X:1, Y:1로 설정을 해주면 왼쪽의 화살표들이 화면의 비율에 맞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그 위의 Left, Top, PosZ, Right, Bottom들을 다 0으로 설정해주면 그림과 같이 텍스트가 위의 왼쪽에 나오도록 배치된다. inspector의 파란색 박스 안에 가운데 정렬들을 해주면 화면에 정 가운데에 텍스트가 배치된다. 텍스트의 글씨를 변경해줄 수 있다. Anchor의 MIN MAX 값을 조절을 해줘야된다. 위의 그림처럼..

파이프를 scene에 올리기 물체를 위 아래로 회전시키고 싶다면, 회전시키고 싶은 물체를 누르고 Position의 z축을 180도로 설정해둠. 두 개의 파이프를 하나의 물체로 그룹화 시키고 싶다면 Create Empty를 누르고 빈 하나의 객체를 만들어, 거기에 추가하고 싶은 물체들을 드래그 앤 드랍한다. Pipe를 동시에 움직이고 싶다면 Pipe를 클릭하고 inspector의 x,y,z를 클릭하여 왼쪽 오른쪽으로 조절하면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Component를 추가하여 자동으로 파이프가 왼쪽으로 움직이도록 하려면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Move..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using : import public class BirdJump_1 : MonoBehaviour //: MonoBehaviour: 라는 걸 상속 받는다. { Rigidbody2D rb; public float jumpPower; //public으로 선언하면 유니티에서도 값을 조절할 수 있음 //Start is called before the first frame update void Start() { rb=GetComponent(); //Rigidbody2D라는 컴포넌트를 들고와서 rb에 담겠다. } // Update is called once per fram..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using : import public class BirdJump_1 : MonoBehaviour //: MonoBehaviour: 라는 걸 상속 받는다. { //Start is called before the first frame update void Start() { Debug.Log("Start"); } // Update is called once per frame void Update() { Debug.Log("Update"); } } 기본 콘솔 로그를 보기 위해서는 Debug.log를 사용 이렇게 입력하고 유니티에서 재생을 하면 왼쪽 아래와 같이 콘솔 ..
Add Component의 New Script를 눌러 이름을 설정하고 Create and Add를 눌러주면 새로운 컴포넌트가 생긴다. 맨 밑에 New Script를 눌러 새로운 이름을 작성하고 만들어주면 새로운 컴포넌트가 생성이 됨. Edit->Preference->External Tools->External Script Editor->Visual Studio Community를 사용할 예정

Bird를 클릭 후 inspector의 Animator의 밑에 Add Component를 눌러 중력을 추가해줄 수 있다. Add Component의 Physics 2D->Rigidbody 2D를 선택해주면 중력 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새가 떨어지면서 화면에서 없어져 버리는데, 이렇게 말고 땅에 닿으면 새가 땅에서 계속 앞으로 가는 애니메이션을 만들어준다. Bird를 누르고 Add Component를 하여 똑같이 Physics 2D에 Capsule Collider 2D를 선택하고 Direction을 Horizontal로 선택하고 Edit Collider를 눌러주면 새 근처에 딱 맞는 초록색 선이 생긴다. 이 선은 새의 크기에 맞게 조절해주면 더 좋다. 똑같이 Ground를 선택하고 Groun..